윈도우 10 최적화하기 - 스케줄러 조정
윈도우에는 수많은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내장 되어 있습니다. 그중 일부는 유저들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도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유저에 의해 실행되는건 아닙니다. 일부 프로그램은 윈도우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전에 글을 썻던 디스크 조각모음의 경우 일정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시행하게 되어있었죠. 많은 스케줄러 중 꺼도 상관이없고 오히려 껏을때 도움이 되는 스케줄러가 있습니다. 이 글에선 해당 스케줄러를 알아보고 끄는 방법 또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스케줄러를 실행해야합니다. 실행하는 방법은 시작 - Windows 관리도구 - 작업 스케줄러를 찾아 실행하시면됩니다. 실행하셨다면 좌측에 작업 스케줄러 (로컬) 이라는 타이틀이 보입니다. 그 바로 아래보시면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 라고 있는데, 바로 좌측에 '>' 표시를 눌러 하위내용을 열어줍니다. 열면 컴퓨터 환경에 따라 여러가지 폴더들이 보입니다. 여기서 Microsoft 폴더를 찾아 하위내용을 열어줍시다. 하위 내용 중 Windows 라는 폴더를 찾아 다시 또 열어줍시다. 수많은 폴더들이 좌측에 보입니다. 여기서 Application Experience 라는 폴더를 찾아 들어갑니다. 들어가면 우측에 3가지 내용물이 나오는데요 순서대로 Microsoft Compatibility Appraiser,
ProgramDataUpdater, StartupAppTask 가 있습니다. Microsoft Compatibility Appraiser는 'Microsoft 사용자 환경 개선 프로그램에 옵트인(opt in)한 경우 프로그램 원격 분석 정보를 수집합니다'. 라고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쉽게 말해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해 윈도우를 개선해 나가는데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ProgramDataUpdater는 'Microsoft 사용자 환경 개선 프로그램에 설정된 경우 프로그램 원격 분석 정보를 수집합니다'. 라고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이것 또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해 Microsoft로 전송하는것입니다. 마지막으로 StartupAppTask는 '시작 항목을 검색하고 시작 항목이 너무 많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표시합니다'. 즉 시작프로그램이 너무 많을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는 스케줄러입니다. 이 세가지를 모두 끄셔도 상관없지만, 저의 경우 Microsoft Compatibility Appraiser,
ProgramDataUpdater 이 두가지만 중지를 시켰습니다. SSD를 쓰시는 분들은 잘 모르겠지만 HDD를 쓰는경우 종종 이 두가지 스케줄러가 컴퓨터의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 경우가있어서 꼭 끄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끄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해당 항목에 우측 클릭을 하시고 사용 안함을 누르시면 됩니다.
윈도우의 스케줄러는 단순히 이 3가지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오늘은 가장 간단하고 요긴하다고 생각되는 스케줄러를 꺼보았습니다. 또 다른글로 찾아뵙겠습니다.